본문 바로가기
기업 분석·실적

매출 신기록 달성! 소파이 테크놀로지스 2025년 1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

by 불맨 2025. 4. 30.
반응형

 

2025년 4월 29일 미국 증시 장 시작 전, 소파이 테크놀로지스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과 EPS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며, 5분기 만에 최고 매출 성장률, 회원·상품·수수료 기반 매출 신기록을 달성했습니다.


소파이 로고

소파이 테크놀로지스, 디지털 금융의 진화

소파이 테크놀로지스(SoFi Technologies, NASDAQ: SOFI)는 2011년 학자금 대출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현재는 다양한 금융 상품을 제공하는 종합 핀테크 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대출, 예적금, 투자, 보험, 결제 등 주요 금융 서비스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제공하며, 미국 내 디지털 금융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자체 기술 플랫폼과 다양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사업 다각화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주요 지표

지표 2025년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성장률 시장 예상치 서프라이즈(%)
순매출 $771.8M +20% $740.3M +4.25%
순이익 $71M - - -
조정 EPS $0.06 +200% $0.04 +50%
조정 EBITDA $210M +46% - -
수수료 기반 매출 $315M +67% - -
신규 회원 800,000명 - - -
총 회원 수 10.9M +34% - -
총 상품 수 15.9M +35% - -

 

사업 부문별 실적 분석

금융 서비스

  • 매출: 3억 3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1% 증가하며, 성장의 핵심 동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 주요 성장 제품
    • SoFi Money: 548만 계좌, 전년 대비 41% 증가. 예적금 및 결제 서비스로 회원 유입과 예치금 성장에 기여.
    • SoFi Relay: 509만 계좌, 전년 대비 41% 증가. 신용 점수 모니터링 및 재무 관리 서비스로 교차 판매 효과 확대.
    • SoFi Invest: 268만 계좌, 전년 대비 21% 증가. 주식·ETF·암호화폐 등 투자 플랫폼으로 회원당 제품 수 증가에 기여.
  • 수익 구조: 순이자수익($1억 7,320만, +45%), 비이자수익($1억 2,990만, +321%) 모두 큰 폭의 성장.
  • 기여이익 및 마진: 기여이익 $1억 4,830만(전년 대비 +299%), 기여이익률 49%(전년 25%에서 대폭 개선).
  • 예치금: 273억 달러, 90%가 직접 입금 회원에서 유입되어 자금 조달 비용 절감 효과.

기술 플랫폼

  • 매출: 1억 34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 증가.
  • 활성 계정 수: 1억 5,840만 개, 전년 대비 5% 증가(갈릴레오·테크니시스 등 B2B 파트너의 계정 포함).
  • 기여이익 및 마진: 기여이익 $3,090만, 기여이익률 30~33%로 안정적 수익성 유지.
  • 사업 특징: 외부 금융기관 및 파트너사에 API·플랫폼 제공, 비대출·수수료 기반 매출 확대에 기여.

대출

  • 매출: 4억 1,340만 달러로 전년 대비 25% 증가.
  • 신규 대출(Loan Originations): 72억 5,000만 달러, 전년 대비 66% 증가.
    • 개인대출: 55억 4,000만 달러, +69%
    • 학자금 대출: 11억 9,000만 달러, +59%
    • 주택담보대출: 5억 1,800만 달러, +54%
  • 기여이익 및 마진: 기여이익 $2억 3,890만, 기여이익률 58~66%로 높은 수익성 유지.
  • 신용 리스크 관리:
    • 개인대출 연체율: 3.31%로 전분기 대비 하락, 4분기 연속 개선.
    • 학자금 대출 연체율: 0.47%로 전분기 대비 하락.
    • 전체 대출 플랫폼: 80억 달러 이상 신규 약정 확보, 제3자 대출 16억 달러 실행.
  • 예치금 기반 대출 조달: 예치금 증가로 자금 조달 비용 절감, 대출 성장에 긍정적.

 

소파이 CEO 안소니 노토(Anthony Noto)
소파이 CEO 안소니 노토(Anthony Noto)

경영진 시각 및 전략

실적 발표 후 진행된 어닝콜에서, 경영진은 수수료 기반 매출의 지속적 확대와 신제품 출시, 파트너십 강화 등을 향후 주요 전략으로 제시했습니다. 특히, SoFi Plus 구독형 서비스와 SmartStart 학자금 대환 상품, 신규 제휴 카드 출시 등은 회원당 수익 증대와 교차판매 확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언급됐습니다. 또한, 대출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금융 서비스와 기술 플랫폼 등 자본 효율적이고 리스크가 낮은 비대출 부문의 성장을 가속화하겠다는 점도 강조됐습니다.

 

2025년 전망과 주요 성장 동력

소파이는 2025년 연간 실적 가이던스를 상향 조정했습니다.

  • 연간 매출 가이던스: 32억 3,500만~33억 1,000만 달러(기존 32억~32억 7,500만 달러).
  • 조정 EBITDA: 8억 7,500만~8억 9,500만 달러(기존 8억 4,500만~8억 6,500만 달러).
  • GAAP 순이익: 3억 2,000만~3억 3,000만 달러.
  • 신규 회원 목표: 2025년 한 해 동안 280만 명의 신규 회원 유치 목표(전년 대비 28% 증가).

향후 성장 동력으로는 수수료 기반 매출 확대, 신제품 및 서비스 출시, 파트너십 확대, 기술 플랫폼의 외부 고객 확대 등이 꼽힙니다.

 

실적 발표 후 주가 반응

소파이는 최근 분기마다 시장 기대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발표하며, 대출 중심의 사업 구조에서 벗어나 수수료 기반 매출과 기술 플랫폼 매출 비중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한 주 동안 주가가 23% 급등하는 등 투자 심리가 크게 개선됐으나, 실적 발표 당일에는 이미 기대감이 상당 부분 선반영된 영향으로 주가 반응은 제한적이었습니다. 실적 발표 직후 일시적으로 6~10% 상승했으나, 이내 상승폭을 반납하며 소폭 상승에 그쳤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최근 지속되는 시장 불확실성과 거시경제 변화 등 외부 요인이 여전히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접근 전략

신중한 진입, 분할 매수 고려

최근 단기 급등과 여전히 지속되는 시장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추가 매수는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실적과 성장성은 긍정적이지만, 기대치가 이미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보이며, 변동성 확대에 유의해야 합니다.

중장기적 관점 유지

소파이는 다양한 금융 상품과 기술 플랫폼 확장, 회원 기반 성장 등 장기 성장 동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기 변동성에 휘둘리기보다는, 분기별 실적과 사업 다각화 전략의 실행력을 꾸준히 점검하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미국 증시 소식과 투자 전략, 종목 탐색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 해당 정보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책임과 판단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