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 미국 증시 장 마감 후 카바나는 2025년 1분기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과 EPS 모두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으며, 시간 외 거래에서 약 4% 상승했습니다.
카바나, 온라인 중고차 유통 혁신의 선두주자
카바나(Carvana, NYSE: CVNA)는 온라인 중고차 매매 플랫폼의 선구자로, 비대면 구매·판매, 투명한 가격 정책, 혁신적 물류 시스템(자동차 자판기 등)으로 미국 자동차 리테일 산업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카바나는 효율성 개선과 고객 경험 혁신, 운영 스케일 확대를 바탕으로 업계 내 입지를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 주요 지표
지표 | 2025년 1분기 | 전년 동기 대비 | 시장 예상치 | 서프라이즈(%) |
순매출 | $4.232B | +38% | $3.98B ~ 3.99B | +6 ~ 6.2% |
순이익 | $373M | 흑자전환 | - | - |
조정 EPS | $1.51 | 흑자전환 | $0.67 | +125% |
조정 EBITDA | $488M | +108% | $437M | +12% |
조정 EBITDA 마진 | 11.5% | +3.8%p | - | - |
영업이익 | $394M | 흑자전환 | - | - |
영업이익률 | 9.3% | +4.4%p | - | - |
소매 판매대수 | 133,898 | +46% | - | - |
카바나는 2025년 1분기에 매출, 순이익, EPS, 조정 EBITDA 등 모든 주요 지표에서 시장 기대치를 크게 상회했습니다. 소매 판매대수와 수익성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사업 부문별 실적 분석
소매 판매 및 수익성
- 소매 판매대수는 133,898대로 전년 대비 46% 증가, 미국 전체 중고차 시장에서 약 1%의 점유율을 달성하며 빠른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 매출은 42억 3,200만 달러로 38% 증가, 업계 최고 수준의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 조정 EBITDA는 4억 8,800만 달러(마진 11.5%)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증가하며 수익성 개선이 두드러졌습니다.
- 순이익은 3억 7,300만 달러로 흑자전환, 영업이익률은 9.3%로 4.4%p 상승했습니다.
- 소매 GPU(대당 총이익)는 $3,308로, 재고·물류·재정비 효율화와 운영 레버리지 효과가 반영됐습니다.
비용 구조 및 효율성
- SG&A(판매·관리비)는 4억 6,800만 달러(비현금성 제외), 소매 판매대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단위당 SG&A는 $750 감소, 운영 효율화가 지속되었습니다.
- 영업현금흐름과 GAAP 영업이익 모두 업계 최고 수준을 달성, 고정비 레버리지와 비용 통제의 효과가 확인됐습니다.
경영진 시각 및 전략
실적 발표 후 어닝콜에서 어니스트 가르시아 CEO는 “카바나는 고객 경험 혁신, 효율성 극대화, 스케일 확대를 통해 업계 패러다임을 바꾸고 있다”며, “향후 5~10년 내 연간 300만 대 소매 판매, 조정 EBITDA 마진 13.5% 달성을 목표로 한다”고 밝혔습니다. 경영진은 품질·선택 폭 확대, 브랜드 신뢰 제고, 운영 자동화·AI 도입, 전국 단위 물류 네트워크 확장 등 중장기 성장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2025년 전망과 주요 성장 동력
카바나는 2분기에도 소매 판매대수와 조정 EBITDA의 연속적 증가를 전망하며, 분기별·연간 신기록 경신 가능성을 언급했습니다.
주요 성장 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간 300만 대 소매 판매
- 조정 EBITDA 마진 13.5%
- AI·자동화 기반 운영 효율화
- 전국 단위 재고·물류 네트워크 확장
- 고객 경험 혁신 및 브랜드 신뢰 제고
실적 발표 후 주가 반응
실적 발표 후 카바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3~4% 상승했습니다. 매출, EPS, 조정 EBITDA 등 모든 지표가 시장 기대를 크게 상회한 점, 수익성 개선과 성장 모멘텀에 대한 기대가 투자심리 개선에 긍정적으로 작용했습니다. 다만, 최근 1년간 주가가 120% 이상 급등하며 밸류에이션 부담과 변동성 확대, 경쟁 심화에 대한 경계도 일부 나타나고 있습니다.
투자 접근 전략
카바나는 온라인 중고차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운영 효율화, 수익성 개선, AI·자동화 혁신 등에서 장기 성장성이 유효합니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밸류에이션 부담, 경쟁 심화, 중고차 시장 변동성, 금리·경기 등 외부 변수에 유의해야 합니다. 투자자는 분기별 실적과 판매대수 성장, 비용 구조 변화, 신기술 도입, 시장 점유율 추이 등을 중장기적으로 점검하며 신중하게 접근하는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립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미국 증시 소식과 투자 전략, 종목 탐색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 해당 정보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책임과 판단입니다.
'기업 분석·실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용화 및 확장 이정표 달성! 아이온큐 2025년 1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 (5) | 2025.05.08 |
---|---|
혁신 플랫폼으로 지속적인 시장 점유율 확대! ARM 홀딩스 2025 회계연도 4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 (8) | 2025.05.08 |
광고 매출 71% 급증! 앱러빈 2025년 1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 (4) | 2025.05.08 |
적자폭 대폭 축소와 현금흐름 개선으로 재무 안정성 강화! 유니티 2025년 1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 (6) | 2025.05.07 |
아부다비에 새로운 디즈니 테마마크 조성 계획 발표! 월트 디즈니 2025 회계연도 2분기 실적 및 전망 분석 (7) | 2025.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