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 기법·정보

어차피 우상향 한다면 레버리지로?! 지수추종 레버리지 ETF 장기 투자, 가능할까?

by 불맨 2025. 2. 17.
반응형

 

미국 주식 시장이 장기적으로 우상향 한다면, 지수추종 레버리지 ETF를 활용한 장기 투자 전략은 과연 유효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거 데이터를 통해 지수추종 레버리지 ETF 투자 성과와 그 위험성, 그리고 장기 투자 전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우상향하는 미국주식

미국 주식은 결국 우상향?

미국 주식 시장은 지난 100여 년간 장기적인 우상향을 지속해 왔습니다. 1920년대 대공항부터 2000년 닷컴 버블, 2008년 금융위기, 2020년 팬데믹까지 크고 작은 경제 위기가 있었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S&P 500과 나스닥 지수는 꾸준히 우상향해왔습니다.

 

※ 미국 주식이 우상향 하는 이유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에서 자세히 다루었습니다.

 

이거 어디까지 올라가는 거예요? 미국 주식,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미국 주식 시장은 오랜 역사 동안 장기적인 우상향을 보여왔습니다. 경제 위기나 불확실한 시기에도 꾸준히 성장해 온 이 시장은 많은 투자자들에게 미력적인 투자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그

healthinvestor.tistory.com

 

레버리지 ETF 장기 투자, 정말 괜찮을까?

지수추종 레버리지 ETF란?

레버리지 ETF는 기초 지수의 일일 변동폭을 2배, 3배로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다음과 같은 ETF들이 있습니다.

  • QLD: 나스닥 100 지수를 2배 추종
  • TQQQ: 나스닥 100 지수를 3배 추종
  • SSO: S&P 500 지수를 2배 추종
  • UPRO: S&P 500 지수를 3배 추종

어차피 우상향이라면 장기 투자?

상승장이 지속될 경우,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우상향 하는 시장에서는 레버리지 ETF가 일반 ETF보다 높은 수익을 낼 가능성이 큽니다. 하지만 지수가 횡보하거나 하락할 경우, 레버리지 효과가 반대로 작용해 손실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변동성이 크면 손실이 누적되면서 장기 수익률이 기대치보다 낮아질 수 있으며, 이를 음의 복리라고 부릅니다. 게다가 높은 변동성으로 인한 심리적 부담으로 장기 보유가 쉽지 않으며, 하락장에서 흔들릴 가능성이 큽니다.

 

qqq, qld, tqqq 비교
QQQ, QLD, TQQQ 지난 5년간 차트

백테스팅으로 보는 레버리지 ETF의 성과와 위험성

과거 데이터를 활용해 나스닥 100 지수를 1배, 2배, 3배 추종하는 ETF의 상승률을 비교해 보면, 장기적으로 레버리지 ETF가 훨씬 높은 수익을 기록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과 같은 하락장에서 레버리지 ETF는 일반 ETF보다 훨씬 큰 손실을 기록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지난 20년간 QQQ, QLD, TQQQ 수익률

※ 2004년 1월 5일 ~ 2023년 12월 29일 - 단순 추정치

구분 수익률(%)
QQQ 1026%
QLD 4893%
TQQQ 8473%

10년 동안 매월 100만 원씩 적립식 투자를 했다면?

※ 2014년 1월 2일 ~ 2023년 12월 31일 - 단순 추정치

구분 누적적립금 누적평가액 수익률(%)
QQQ 120,000,000원 291,038,392원 143%
QLD 120,000,000원 519,890,539원 333%
TQQQ 120,000,000원 666,030,400원 455%

 

2022년 하락장을 기준으로 QQQ, QLD, TQQQ 비교

※ 2022년 1월 4일 ~ 2022년 12월 30일 - 단순 추정치

구분 수익률(%)
QQQ -33%
QLD -60%
TQQQ -78%

2022년 최고가 대비 2025년 2월까지 상승률

※ 2022년 1월 4일 ~ 2022년 12월 30일 - 단순 추정치

구분 2022년 최고가 2025년 2월 현재가 상승률(%)
QQQ $408.71 $538.15 +31%
QLD $101.69 $118.54 +16%
TQQQ $82.35 $89.83 +9%

 

만약, 2022년 하락장에서 레버리지 ETF를 최고점에서 매수한 투자자의 경우, 현재 2025년 2월 1배 추종 ETF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즉, 하락장에서 레버리지 ETF는 기초 지수가 전고점을 한참 뛰어넘어야 손실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레버리지 ETF 장기 투자, 이렇게 접근하자

변동성 관리 전략 - 현금 보유의 중요성

레버리지 ETF의 가장 큰 리스크는 변동성입니다. 급격한 하락장에서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며, 이는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패닉셀로 이어질 가능성을 높입니다. 따라서 일정 비율의 현금을 보유하는 것은 필수적인 변동성 관리 전략입니다. 현금은 하락장에서 추가 매수 자금으로 활용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예상치 못한 투자 기회가 발생했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적립식 VS 거치식 

레버리지 ETF 장기 투자에 있어 적립식 투자와 거치식 투자 중 어떤 방식이 유리할지는 개인의 투자 목표, 위험 감내 수준, 투자 기간, 시장 상황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적립식 투자는 매달 일정한 금액을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시장 변동성에 따른 위험을 분산할 수 있으며, 하락장에서는 낮은 가격에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하고, 상승장에서는 높은 가격에 적은 주식을 매수하여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시장 상황에 크게 흔들리지 않고 꾸준히 투자할 수 있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승장에서 거치식 투자보다 수익률이 낮을 수 있습니다.
  • 거치식 투자는 한 번에 목돈을 투자하는 방식입니다. 상승장에서는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지만, 하락장에서는 큰 손실을 볼 수 있으며, 투자 시점을 잘못 선택하면 장기간 손실을 볼 수 있습니다. 무엇보다 시장 변동성에 따라 심리적으로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투자 심리 관리

레버리지 ETF 투자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심리적인 부담도 큽니다. 변동성에 따른 불안감, 공포, 탐욕 등 다양한 감정이 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투자 원칙을 세우고,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원칙에 따라 투자해야 합니다.
  • 단기적인 변동성에 흔들리지 않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투자해야 합니다.
  • 하락장에서 분할 매수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확보하고,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출 수 있습니다.
  • 하락장에서 손실을 감수할 수 있는 마음의 준비도 필요합니다.

그 외 주의해야 할 점

  • 하락장에서 레버리지 ETF는 기초 지수가 전고점을 한참 뛰어넘어야 손실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 레버리지 ETF는 일반 ETF보다 운용 보수가 높기 때문에 장기 보유 시 비용 부담도 고려해야 합니다.
  • 과거의 높은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률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과거 데이터처럼 시장이 무조건 우상향 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미국 주식 시장이 우상향 한다는 전제하에 지수추종 레버리지 ETF는 매력적인 장기 투자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과거 데이터처럼 무조건 우상향 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시장은 예측할 수 없으며, 다양한 변수에 의해 변동합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과거 수익률에 맹목적으로 의존하기보다는 현실적인 관점에서 신중하게 투자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이상으로 지수추종 레버리지 ETF 장기 투자 성과와 그 위험성, 그리고 투자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장기 투자에 성공하는 투자자는 과연 몇 명이나 될까요? 정보가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와 댓글 부탁드리겠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미국 증시 소식과 종목 탐색 정보를 전해드리겠습니다.

※ 해당 정보는 투자 권유가 아닙니다.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입니다.

반응형